티스토리 뷰

목차



    사진 = 연합뉴스

    최근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 공장과 관련한 폐수 방류 우려가 제기되며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해역과 하천의 방사능 및 중금속 오염은 이상 없음”이라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구체적인 조사 내용과 정부의 대응 방안을 정리해드립니다.

     

     

     

    1. 관계부처 합동 조사 결과 발표

    정부는 7월 18일 통일부, 원자력안전위원회,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 합동 명의로 보도자료를 통해, 북한에서 유입되는 예성강 하류를 중심으로 10개 지점에서 방사능 및 중금속 오염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항목 조사 내용 결과
    조사 시점 2025년 7월 4일 강화도·한강 하구 등 10개 정점 대상
    방사성 물질 우라늄 2종, 세슘 포함 기준치 미만, 2019년 대비 유사·낮은 수치
    중금속 5종 카드뮴, 비소, 수은, 납, 6가 크롬 전 항목 기준 미만 또는 불검출

    특히 강화·김포 지역 6개 정점의 우라늄 농도는 2019년 조사 대비 유사하거나 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성 세슘 역시 모든 지점에서 최소검출가능 농도 미만이었습니다.

     

     

     

    2. 우려되는 중금속도 전 항목 ‘불검출’ 또는 ‘기준 미만’

    카드뮴, 비소, 수은, 납, 6가 크롬 등 중금속 5종에 대해서도 ‘환경정책기본법’ 및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환경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평산 우라늄 공장 관련 폐수가 실제 방류되었는지와 별개로, 현재 우리 측 환경에는 영향이 없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확인한 조사 결과입니다.

    3. 정례 감시 체계 유지 및 범정부 협의 지속

    정부는 국민의 우려가 높은 사안인 만큼, 다음과 같은 조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기존 10개 정점 중 주요 7개 지점에 대해 월례 정기 감시체계 유지
    • 관계부처 협의체를 통해 지속적인 분석·대응
    • 국민 우려 해소를 위한 투명한 정보 공개 지속

    또한 정부는 이 같은 환경조사는 국내 오염 여부를 확인한 것이지, 북한 평산 우라늄 시설의 실제 방류 여부를 조사한 것은 아니다라는 점도 명확히 밝혔습니다.

    Q&A

    Q1. 북한에서 우라늄 폐수를 실제로 방류한 것인가요?
    정부는 이번 조사에서 방류 여부를 직접 확인한 것은 아니며, 단지 국내 환경오염 여부만 분석했습니다.

    Q2. 조사한 지역은 어디인가요?
    강화도, 한강·임진강 하구, 인천 연안 등 총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했습니다.

    Q3. 앞으로도 계속 감시할 예정인가요?
    네, 정부는 7개 주요 지점에 대해 정기적인 월례 감시를 이어가며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대응할 계획입니다.

     

    민감한 이슈일수록 투명하고 과학적인 대응이 중요합니다. 이번 정부 조사는 북한 평산 우라늄 폐수 문제에 대한 국내 영향 우려를 차분히 가라앉힐 수 있는 근거가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시와 투명한 소통이 이어지기를 기대합니다.

    정부 공식 발표 전문은 관계부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관련 정보 확인해보세요!

    반응형